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달러 1500원
- 반도체 주식 추천
- 자산 관리 팁
- 팔란티어 주식 전망
- 저축 방법
- 이더리움 가격 분석
- 2025년 ai 투자
- 애플 ai 전략
- S&P 500 ETF
- ai 투자 전략
- 환율 1500원
- etf 장기 투자
- 미국 배당 etf 추천
- 2025년 투자 전략
- 달러 패권
- 2025 투자 전략
- 딥시크 ai
- 엔비디아 주식 전망
- 월급모으기
- 장기 투자 전략
- 암호화폐 시장 전망
- 미국 관세 정책
- 부자되는 방법
- 오블완
- 삼성전자 주식 전망
- 반도체 투자 전략
- 인플레이션
- schd 장기 투자
- 리얼티인컴
- 티스토리챌린지
Archives
- Today
- Total
투자하는흑구
이렇게 투자를 시작해보세요.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를 아직 시작해보지 못한 분들을 위해 개인 상황별 투자전략을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
투자는 중요 자산 상승 수단이지만 개인의 상황마다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자산에 투자할지는 개인의 나이, 시드머니의 규모, 월 수입 수준, 투자 경험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바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사회초년생이라면 적립식 투자
사회초년생은 시드머니가 부족하지만 어린나이라는 점과 꾸준한 월급 수입이라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있습니다. 이 경우 적립식 투자 방식이 적합합니다.
- 투자 항목: 지수추종 ETF(S&P500, 나스닥 100, 미국배당다우존스 등)
- 왜? 충분히 소액으로도 시작할 수 있고 꾸준히 투자하게 되면 완연한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전략:
- 월급의 n%를 자동으로 투자 계좌로 이체
-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 분산 ETF 선택
- 최소 5년 이상 장기 투자 -> 이 부분 때문에 없어도 되는 돈으로 해야하며 저축과 같은 개념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
30~40대 중반, 안정적인 월급 + 중간 규모의 자산 보유자라면
이 시기는 시드머니가 어느 정도 쌓이고, 투자 경험도 축적되기 시작한 시기입니다. 대략 일반회사의 대리 후반 ~ 차장 초반 쯤의 나이대라고 볼 수 있겠네요. 이때는 리스크를 조금 더 감수할 수 있으며, 자산 배분 전략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이 타이밍엔 결혼이슈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결혼비용의 계산을 제외한 금액으로 이후 부부가 함께 자산을 만들어간다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 투자 항목: 국내상장 해외주식 ETF(간접투자), 해외 주식(직접투자), 부동산 리츠(REITs) 혹은 내집마련
- 왜? 자산의 성장이 필요한 시기이므로, 주식 시장의 상승 가능성을 활용해야 합니다.
- 전략:
- 자산의 70%는 안정적인 자산(인덱스 펀드, 리츠 등)에 분산.
- 30%는 고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술주 또는 ETF에 투자.
- 투자한 자산의 리밸런싱은 매년 1~2회.
40대 후반~50대, 자산이 어느 정도 쌓였다면 집중 투자
이 시기에는 은퇴를 대비해야 하므로, 큰 자산을 안정적으로 굴리거나 확신이 있는 곳에 집중 투자할 시기입니다.
- 추천 자산: 배당주, 안정적인 부동산, 금·채권
- 왜? 큰 손실을 감당하기 어려운 시기이므로 안정성을 중시해야 합니다.
- 전략:
- 이제는 예금이 의미가 없을 시기 입니다. 기존 예금을 해지하고, 확신이 있는 자산에 1~2곳 집중 투자.
- 매달 발생하는 배당금 또는 임대소득으로 현금 흐름 확보.
- 포트폴리오의 20%는 금 또는 채권으로 안전장치 마련.
은퇴 후, 현금 흐름 유지가 핵심
은퇴 후에는 자산의 안정성과 현금 흐름이 최우선입니다. 무리한 고수익 자산보다는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이 필요합니다.
- 추천 자산: 배당 ETF, 고정임대 수익 부동산, 채권형 펀드
- 왜? 월급이 없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필요하므로.
- 전략:
- 자산의 50%는 배당 ETF와 채권형 펀드에 투자.
- 나머지는 임대 수익형 부동산을 통해 고정 소득 창출.
- 필요 자금을 제외한 소액은 금이나 달러 자산으로 분산
'투자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을 놀리는 것은 죄입니다. (0) | 2024.11.24 |
---|---|
적금대신 적립식 배당주 투자를 해보자! (0) | 2024.11.23 |
저는 절대 퇴사하지 않겠습니다. (0) | 2024.11.19 |
이것을 지키지 않으시면 가난해지실 겁니다. (6) | 2024.11.18 |
돈의 가치는 왜 떨어지고 있을까? (11) | 202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