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chd 배당 성장
- schd 장기 투자
- 리얼티인컴
- 2025 투자 전략
- ai 투자 전략
- 2025년 ai 투자
- 티스토리챌린지
- 엔비디아 주식 전망
- 미국 관세 정책
- 2025년 투자 전략
- 인플레이션
- 오블완
- 미국 배당 etf 추천
- 복리 효과 투자
- 월급모으기
- 반도체 투자 전략
- 달러 1500원
- 부자되는 방법
- 환율 1500원
- 부동산 투자 전략
- 애플 ai 전략
- etf 투자 전략
- etf 장기 투자
- 딥시크 ai
- 포트폴리오 분산
- 저축 방법
- 장기 투자 전략
- 자산 관리 팁
- 달러 패권
- 투자 심리
- Today
- Total
투자하는흑구
저는 절대 퇴사하지 않겠습니다. 본문
안녕하세요.
최근 다니던 직장을 쉽게쉽게 퇴사하는 일명 "퇴사러시"가 많이 급증하였다는 기사를 확인했습니다.
그분들이 퇴사하시는 사유 하나하나를 확인해본 어떤 통계나 이런 부분을 확인해볼 수 있지는 못했지만 어찌보면 좀더 나은 환경으로의 이직이나 쉼이 필요하여 퇴사를 선택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좀더 심각한 이유로는 그저 일이 재미 없거나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도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좀더 나은 환경으로의 이직이나 신체적인 쉼이 필요한 상황이 아닌 개인의 의지에 의한 퇴사는 상당히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몇가지 서술해보겠습니다.
2억원 예치시 연 4% -> 이자 1600만원 -> 1/12 -> 133만원
3억원 예치시 연 4% -> 이자 2400만원 -> 1/12 -> 200만원
대략 3억원의 금액을 연 4% 예금에 넣었을때 나오는 1년간의 이자가 월 200만원의 직장 급여와 살짝 비슷해졌네요! (물론 3억보다 대략 4억정도 나오긴 합니다.)
월급이 나오는 직장의 가치는 대략 3~4억의 가치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저시급이 그정도 되니까 주8일 40시간을 업무하는 정규직 직장인의 경우 재직한다면 시작부터 3억 이상의 자산이 발생하는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수단을 받는 것과 동일하다는 것 입니다.
자, 여러분은 어떤 좋은것을 한개만 갖고 싶으신가요? 두개이상 갖고 싶으신가요?? 당연히 두개이상 가져서 어떤 좋은 것에 대한 이득을 취할 수 있으면 좋겠죠!!
그래서 저는 지금의 직장을 자산 하나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매달 들어오는 월급은 마치 큰 금액의 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처럼 안정적으로 나의 생활을 지탱해 주고 더 나아가 추가 자산을 만들어 가는 원동력이 됩니다.
이렇게 생각해 보면, 직장은 단순히 내 시간을 교환하는 공간이 아니라 나를 위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제공하는 거대한 자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 놀라운 점은 직장이 이미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도 또 다른 자산을 쌓아가는 발판이 된다는 점입니다.
- 월급을 통해 생활비를 제외한 금액을 저축하고
- 그 금액으로 금융투자를 하거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며
- 자산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돕는 것입니다.
결국 직장은 단순히 "한 개의 자산"에 머무르지 않고 또 다른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줍니다. 이미 직장이 하나의 자산인데 여기에 추가 자산을 더할 수 있다면 두 개의 자산을 가진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퇴사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물론, 누군가에게 퇴사는 더 나은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직장이 가진 이 가치를 생각해 보면 퇴사는 단지 "일을 그만둔다"는 의미 이상으로 큰 결정을 필요로 합니다. 직장을 그만두는 것은 내가 가진 자산 하나를 내려놓는 일이며 또 다른 자산이 만들어질 가능성을 포기하는 일일 수도 있습니다.
저는 지금 이 자산을 잃고 싶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 자산을 기반으로 또 다른 자산을 만들어가는 삶을 꿈꾸고 있습니다.
- 안정적인 월급
- 그 월급으로 만들어가는 자산
- 두 개의 자산이 만들어 내는 안정된 삶
이 모든 것은 저에게 직장에 대한 고마움과 소중함을 느끼게 합니다. (뭐 물론.. 일할때는 열받긴 하지만요ㅎㅎ)
한 개보다 두 개가 낫다.
직장은 이미 하나의 큰 자산입니다. 그리고 저는 이 자산을 기반으로 또 다른 자산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퇴사라는 말이 유행하고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환경을 찾아 떠나더라도 저는 제 선택을 확신합니다. 퇴사는 언제나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저는 오늘도 직장에서 제 자산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투자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금대신 적립식 배당주 투자를 해보자! (0) | 2024.11.23 |
---|---|
이렇게 투자를 시작해보세요. (1) | 2024.11.20 |
이것을 지키지 않으시면 가난해지실 겁니다. (6) | 2024.11.18 |
돈의 가치는 왜 떨어지고 있을까? (11) | 2024.11.17 |
당신의 돈은 매일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6)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