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장기 투자 전략
- 딥시크 ai
- 2025 투자 전략
- 2025년 ai 투자
- schd 장기 투자
- 월급모으기
- 반도체 투자 전략
- 포트폴리오 분산
- 오블완
- 투자 심리
- 미국 관세 정책
- 자산 관리 팁
- 티스토리챌린지
- 장기투자 전략
- 저축 방법
- 미국 배당 etf 추천
- 리얼티인컴
- 2025년 투자 전략
- etf 장기 투자
- 달러 1500원
- 부자되는 방법
- 달러 패권
- 인플레이션
- schd 배당 성장
- ai 투자 전략
- 애플 ai 전략
- 엔비디아 주식 전망
- 복리 효과 투자
- 부동산 투자 전략
- etf 투자 전략
- Today
- Total
투자하는흑구
물타기와 3천만 원 손절로 배운 주식 투자 원칙 본문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주식 투자자라면 누구나 경험할 수밖에 없는 손실에 대한 저의 경험담과, 그 손실을 통해 세운 투자 원칙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저는 2013년에 처음 주식 투자를 시작했는데, 2015년까지 손절한 금액이 무려 3천만 원 가까이 됩니다. 잘 오르던 종목도 제가 사면 떨어지고, 더 떨어지면 추가 매수를 했지만 계속 하락하더군요. 바닥인 줄 알았는데 그 아래 지하실이 있더라는 말이 딱 맞았습니다.
물타기의 함정
당시 투자했던 종목들은 모두 대형주, 우량주였습니다. 이런 회사들은 결국 오를 거라는 막연한 믿음이 있었고, 가격이 떨어지면 오히려 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가진 돈을 탈탈 털어 추가 매수를 했습니다. 이게 바로 "물타기"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깨달았습니다. 추가 매수를 해도 단가는 쉽게 낮아지지 않았고, 투자금이 점점 커지면서 다른 기회를 잡을 여력이 사라졌습니다. 결국, 저는 새로운 투자 기회를 위해 손절을 결정했습니다. 3천만 원의 손실을 확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지만, 이후 미국 주식과 펀드 투자에서 큰 수익을 낼 수 있었습니다.
물타기와 분할 매수의 차이
이 경험을 통해 저는 물타기와 분할 매수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물타기: 명확한 투자 계획 없이 단순히 주가가 떨어졌을 때 추가 매수하는 것.
- 분할 매수: 투자 계획에 따라 특정 가격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매수하는 것.
계획 없이 무조건 추가 매수를 하면 투자금이 한 종목에 몰리게 되고, 새로운 기회를 잡을 자금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생깁니다.
3천만 원 손절 이후 세운 투자 원칙
이후 저는 몇 가지 원칙을 세웠습니다.
1) 대형주, 우량주라도 무조건 매수하지 않는다.
기업이 어떤 사업을 하고, 어떻게 돈을 버는지 최소한의 공부는 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이제는 관련 기사도 찾아보고, 산업 전망도 살펴보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2) 감당할 수 있는 금액 안에서만 투자한다.
한 종목에 과도한 금액을 투자하지 않고, 처음에는 작은 금액으로 진입합니다. 투자금의 분산을 철저히 지킵니다.
3) 현금을 반드시 보유한다.
언제 어떤 기회가 올지 모르므로, 항상 일정 비중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금은 또 하나의 중요한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4) 마이너스가 난 종목은 추가 매수하지 않는다.
주가가 하락했다고 해서 추가 매수하는 대신, 오히려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시장을 지켜봅니다. 좋은 기업이라면 결국 회복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과감하게 정리하는 게 낫습니다.
5) 오랫동안 반등이 없는 종목은 손절한다.
손절 기준을 퍼센트로 정하는 대신, 일정 기간(예: 6개월~1년) 동안 반등이 없고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종목은 과감히 정리합니다. 기회 비용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손절의 기준
주식 초보자라면 손절 기준을 퍼센트로 설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마이너스 20~30%에서 손절하는 식으로 기준을 정해 두면, 막연한 희망으로 버티다가 더 큰 손실을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경험을 통해 저는 무분별한 물타기가 얼마나 위험한지 깨닫고, 투자 원칙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도 자신의 투자 기준을 명확히 정하고, 손실을 줄이는 전략을 고민해 보시길 바랍니다. 항상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