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5년 투자 전략
- 부동산 투자 전략
- etf 장기 투자
- 티스토리챌린지
- 반도체 투자 전략
- 미국 관세 정책
- 리얼티인컴
- 월급모으기
- ai 투자 전략
- 엔비디아 주식 전망
- 오블완
- 달러 1500원
- 미국 배당 etf 추천
- 달러 패권
- 저축 방법
- 애플 ai 전략
- 장기 투자 전략
- 부자되는 방법
- etf 투자 전략
- 인플레이션
- 투자 심리
- 2025년 ai 투자
- 딥시크 ai
- 자산 관리 팁
- schd 배당 성장
- schd 장기 투자
- 장기투자 전략
- 2025 투자 전략
- 복리 효과 투자
- 포트폴리오 분산
- Today
- Total
투자하는흑구
비트코인 폭락, 바닥 신호일까? 더 큰 하락의 서막일까? 본문
비트코인(BTC)이 최근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28일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7만 8656달러로 전주 대비 20% 하락했으며, 이는 지난달 기록한 사상 최고가(10만 9114달러) 대비 28% 하락한 수준이다. 급락세는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이더리움(ETH) 등 주요 알트코인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가상자산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켰다.
특히, 가상자산 투자자 심리 지표(크립토 공포탐욕지수)는 16포인트로 떨어지며 ‘극도의 공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투자자들은 현재 하락세가 단기적인 조정일지, 더 깊은 하락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비트코인 하락의 원인은?
이번 급락의 가장 큰 원인은 BTC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매수했던 헤지펀드들의 자금 회수로 분석된다.
✔️ 유명 BTC 투자자 카일 사세는 “단기 차익거래 전략으로 현물 ETF 매수와 선물 매도를 병행했던 헤지펀드들이 최근 시장 약세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가상자산 시장에서 자금을 대거 회수했다”고 설명했다.
✔️ 이에 따라, BTC 현물 ETF를 대량 매도하면서 전체적인 매도세를 촉발했다. 실제로 지난 27일 미국 BTC 현물 ETF에서는 2억 6631만 달러(약 3889억 원)의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블랙록(BlackRock) IBIT ETF에서는 역대 최대 규모인 4억 2000만 달러(약 6132억 원)가 빠져나갔다.
✔️ 이 같은 대규모 자금 유출은 비트코인 시장의 단기적인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됐다.
전문가들의 엇갈리는 전망
📉*
추가 하락 가능성 제기
일각에서는 비트코인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 아서 헤이즈(비트멕스 공동 설립자)는 “비트코인은 하락세를 지속하며 저점을 낮추고 있다”며 “이번 주말 동안 8만 달러 아래로 한 번 더 크게 하락한 뒤 한동안 횡보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앞서 비트코인이 7만 달러까지 내려갈 수도 있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 저점 매수 기회라는 반론
반면, 이번 하락을 절호의 매수 기회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 비트와이즈(Bitwise)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은 “지금이 역사상 가장 좋은 BTC 매수 시점”이라며 저점 매수 기회를 강조했다.
👉 실제로 X(구 트위터), 레딧(Reddit), 텔레그램(Telegram) 등 주요 SNS에서도 ‘BTC 저점 매수’ 관련 언급이 급증하고 있으며, 가상자산 온체인 분석 플랫폼인 센티멘트(Santiment)에 따르면 BTC 저점 매수 언급량이 지난해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 또한, 세계 최대 BTC 보유 기업 중 하나인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의 설립자 마이클 세일러 역시 BTC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며 “신장 하나를 팔아서라도 BTC를 보유해야 한다”는 극단적인 발언을 남겼다. 현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49만 9096개의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실현 수익은 67억 4000만 달러에 달한다.
🔮 앞으로의 전망은?
비트코인의 향후 가격 흐름은 거시 경제 환경과 투자 심리, 기관들의 자금 흐름에 따라 크게 좌우될 전망이다.
📌 단기적으로는 현물 ETF의 추가 자금 유출 여부와 헤지펀드들의 포지션 정리 속도가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과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 방향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 투자자들은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성급한 매매보다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리스크 관리 전략을 고려한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