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미국 관세 정책
- schd 배당 성장
- 포트폴리오 분산
- 딥시크 ai
- 리얼티인컴
- 2025년 ai 투자
- 달러 1500원
- 티스토리챌린지
- schd 장기 투자
- etf 장기 투자
- 복리 효과 투자
- 오블완
- ai 투자 전략
- 인플레이션
- 기술주 투자
- 장기 투자 전략
- 투자 심리
- etf 투자 전략
- 2025 투자 전략
- 월급모으기
- etf 투자
- 반도체 투자 전략
- ai 버블
- 미국 배당 etf 추천
- 2025년 투자 전략
- 자산 관리 팁
- 장기투자 전략
- 애플 ai 전략
- 엔비디아 주식 전망
- 부자되는 방법
- Today
- Total
투자하는흑구
은행은 어떻게 돈을 불려 시중에 풀릴까? 예대마진과 지급준비율의 비밀 본문

안녕하세요.
은행은 어떻게 돈을 벌고 시중에는 어떻게 돈이 늘어나는 걸까요? 우리는 흔히 은행을 돈을 보관하거나 대출받는 곳으로 생각하지만 은행이 실제로 하는 일은 단순히 돈을 보관하거나 빌려주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이 흥미로운 메커니즘에 대해 특히, 예대마진과 지급준비율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은행은 어떻게 돈을 벌까?
은행의 가장 큰 수익원은 예대마진입니다.
예대마진이란?
은행은 예금을 받은 고객에게 이자를 지급하고 이 돈을 다시 대출해주면서 대출받는 고객에게서 더 높은 이자를 받습니다. 예를 들어, 예금 금리가 2%이고 대출 금리가 5%라면 은행은 이 차이인 3%를 수익으로 가져갑니다.
천만 원의 입금, 어떻게 수천만 원이 되는가?
이제 은행이 받은 예금이 어떻게 시중에 더 많은 돈으로 변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첫 번째 고객의 예금
A 고객이 은행에 1,000만원을 예금합니다. 하지만 이 돈이 은행에 그대로 머무르지 않습니다. 은행은 이 돈의 10%만 지급준비금으로 남겨두고 나머지 900만 원을 대출해줍니다. - 두 번째 고객의 대출과 예금
B 고객이 대출받은 900만 원을 다시 은행에 예금합니다. 은행은 이번에도 이 돈의 10%인 90만 원만 남기고 나머지 810만 원을 또 다른 고객에게 대출해줍니다. - 반복되는 대출과 예금
이 과정이 계속 반복되면서, 처음 1,000만 원이 여러 대출과 예금을 통해 수천만 원의 돈으로 불어납니다. 이를 신용 창출 과정이라고 부릅니다.
천만 원에서 시작된 돈이 이렇게 늘어날 수 있는 이유
은행은 한 번에 모든 예금을 지급해야 할 상황을 대비해 지급준비율을 설정합니다. 한국의 법정 지급준비율은 약 7%~10%로 이를 기준으로 예금을 부분적으로만 보유하고 나머지는 대출로 돌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1,000만원이 이 과정을 반복하면 실제로 시장에 풀리는 돈은 1,000만 원 ÷ 지급준비율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이 10%라면 약 1억원에 가까운 돈이 시중에 풀릴 수 있습니다.
은행과 시중의 돈, 무엇을 의미하나?
은행의 이런 신용 창출 과정은 경제 성장에 기여하지만, 반대로 지나친 신용 확대는 인플레이션이나 부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 금리 정책 등을 통해 은행의 신용 창출을 조절합니다.
은행의 돈벌이와 신용 창출 과정을 이해하면 금융 시스템이 돌아가는 원리를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단순히 "돈을 맡기는 곳"이라는 이미지와 달리 은행은 우리의 돈을 활용해 더 큰 경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이 과도하게 진행될 경우 경제에 위험이 될 수 있으니 항상 금융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대한민국 세법 개정 핵심 요약: 금투세 폐지부터 가상자산 과세 유예까지 (4) | 2024.12.17 |
---|---|
투자 전설의 매도원칙(피터린치) (1) | 2024.12.15 |
30대와 40대, 투자하지 않으면 자산의 격차는 계속 벌어집니다. (5) | 2024.12.13 |
20대부터 시작하는 부자되는 가장 확실한 방법 4단계 (4) | 2024.12.11 |
돈 모으기 위한 통장 쪼개는 방법 (2) | 202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