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오블완
- 미국 관세 정책
- 달러 1500원
- 환율 1500원
- 딥시크 ai
- 2025 투자 전략
- 애플 ai 전략
- 2025년 ai 투자
- 리얼티인컴
- 이더리움 가격 분석
- etf 장기 투자
- 미국 배당 etf 추천
- 티스토리챌린지
- 엔비디아 주식 전망
- 저축 방법
- 2025년 투자 전략
- 달러 패권
- schd 배당 성장
- 장기 투자 전략
- 암호화폐 시장 전망
- 투자 심리
- 부자되는 방법
- 복리 효과 투자
- 부동산 투자 전략
- 월급모으기
- ai 투자 전략
- 반도체 투자 전략
- 인플레이션
- 자산 관리 팁
- schd 장기 투자
Archives
- Today
- Total
투자하는흑구
S&P500 신고가,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전문가가 말하는 조정 대비 전략 본문
S&P500 신고가에 지금 투자해도 될까?
S&P500 조정은 언제 올까?
S&P500 장기 투자 수익률은 얼마일까?
S&P500 매도 타이밍은 언제일까?
S&P500 하락장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최근 S&P500 지수가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평가금액이 불어나 기분 좋은 순간이지만, 동시에 “이제 조정이 오면 어떡하지?”라는 불안감이 고개를 들죠.
특히 국내 주식 투자 경험이 있는 투자자일수록, 신고가 부근에서는 경계심이 더 커집니다. 하지만 S&P500 투자 전략은 코스피 투자와는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과거 데이터와 장기 성과를 기반으로, 신고가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S&P500 투자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신고가는 흔한 일이다
S&P500은 중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지수이기 때문에, 신고가를 자주 경신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 1957년 이후 약 70년간 연평균 18번의 신고가 기록
- 사상 최고점에서 투자하더라도 3년·5년 장기 수익률에서 차이 없음
➡️ 결론: 장기 투자자라면 ‘최적의 타이밍’을 고민하는 것보다 빠른 시장 진입이 유리합니다.
2. S&P500의 위대한 장기 성과
최근 10년간 S&P500의 누적 수익률은 262%(연평균 13.89%).
이는 개별 종목, 심지어 펀드매니저들도 장기적으로 능가하기 어려운 수치입니다.
특징:
- 연도별 상위 30% 성과를 꾸준히 유지
- 단기 1등보다 꾸준함으로 장기 승리
- 변동성이 큰 테마 ETF(예: ARK)보다 최종 성과가 우월
➡️ 중요 포인트: 장기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급등’이 아니라 하락장에서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
3. 조정을 두려워할 필요 없는 이유
피델리티 자료 분석에 따르면:
- 연 10% 내외 조정은 흔하다 → 공포심 불필요
- 20~30% 폭락은 역사적으로 드물다(45년간 7번)
- 조정 후 반등폭이 더 크다 → 하락은 곧 기회
➡️ 하락장이 와도 S&P500은 추가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4. 매도 순서와 전략
조정을 우려해 포트폴리오를 줄여야 한다면:
- 1순위 매도: 변동성 큰 개별 종목, 테마 ETF
- 마지막까지 보유: S&P500 ETF(예: SPY, IVV)
S&P500은 필수소비재처럼 경제 상황이 나빠도 장기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기본 자산’입니다.
지금이 최적의 타이밍일 수 있다.
- 신고가를 두려워할 필요 없다
-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지수
- 조정은 오히려 기회
워렌 버핏이 말했듯, “이상한 데 투자하지 말고 S&P500에 투자하라”는 조언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시장 타이밍보다 시간을 시장에 두는 것이 최고의 전략입니다.